[ Help | Earliest Comments | Latest Comments ][ List All Subjects of Discussion | Create New Subject of Discussion ][ List Earliest Comments Only For Pages | Games | Rated Pages | Rated Games | Subjects of Discussion ]Single Comment Sin-yeon-sang-gi (新演象棋). I dramatized Sin-yeon-sang-hui (新演象戱), one of the variations of the Joseon Dynasty, in Xiangqi style.[All Comments] [Add Comment or Rating] 💡📝Daphne Snowmoon wrote on Fri, Nov 19, 2021 07:53 AM UTC in reply to Jean-Louis Cazaux from 07:32 AM:新演象戱圖說 - 신연상희도설 — 余乃更張之別開四路, 添之以牛與犀 而牛行田 犀行月, 卒各添二 比舊進據一路 於是乎博之數四十四而用兵之術亦可謂各極其妙矣 내가 그것(장기)을 새롭게 변형해 보았다. 우선 4개의 길을 더 늘리고, 우(牛)와 서(犀)라는 기물을 추가했다. 우(牛)는 밭전(田)자로 움직이고, 서(犀)는 눈목(目)자로 움직인다. 졸(卒)은 각각 2개씩 추가하는데, 이전과 다르게 하나의 길만 사용한다. 이에 기물의 수가 44개로 늘어나 용병술 역시 그 오묘함이 극에 달한다. — Source : 靜默堂集 - 정묵당집 (1776) If you want to, search the word 정묵당집 in https://kyu.snu.ac.kr/
新演象戱圖說 - 신연상희도설
—
余乃更張之別開四路, 添之以牛與犀
而牛行田 犀行月, 卒各添二 比舊進據一路
於是乎博之數四十四而用兵之術亦可謂各極其妙矣
내가 그것(장기)을 새롭게 변형해 보았다.
우선 4개의 길을 더 늘리고, 우(牛)와 서(犀)라는 기물을 추가했다.
우(牛)는 밭전(田)자로 움직이고, 서(犀)는 눈목(目)자로 움직인다.
졸(卒)은 각각 2개씩 추가하는데, 이전과 다르게 하나의 길만 사용한다.
이에 기물의 수가 44개로 늘어나 용병술 역시 그 오묘함이 극에 달한다.
—
Source : 靜默堂集 - 정묵당집 (1776)
If you want to, search the word 정묵당집 in https://kyu.snu.ac.kr/